[엄마 수학 시간 24] 규칙을 찾았는데… 이상하네? – 예외와 오류를 살피는 수학 탐정
페이지 정보

본문
이 글은 현장초등교사로서, 초등 수학 개념 중 ‘규칙 찾기’ 개념 중 규칙 속에 있는 예외와 오류를 확인할 줄 아는 능력을 어떻게 키워줄지에 대한 안내 사항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. 어려운 문제 상황에 대해서는 아이들을 격려해 주는 엄마의 말이 큰 힘이 되는 것 같아요. PC보다는 핸드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. 폰으로 가볍게 알아보고, PC로 연습해 보세요! 화이팅!! 엄마 수학 시간 초등 수학, 엄마가 먼저 이해하는 시간
24. 규칙을 찾았는데… 이상하네? – 예외와 오류를 살피는 수학 탐정
아이와 함께 규칙 문제를 풀다 보면, 처음엔 잘 따라가다가 중간에서 갑자기 멈추는 경우가 있습니다. 분명히 숫자가 일정하게 변하던 흐름이었는데, 어느 순간 갑자기 예상하지 못한 수가 튀어나오죠. 엄마 입장에서는 “이건 오타가 아닐까?”, “왜 갑자기 흐름이 바뀌지?”, “앞에는 맞는데 왜 뒤가 안 맞지?” 하는 생각이 들면서... 설명을 이어가기가 어려워집니다. ㅠㅠ 아이는 막히고, 엄마는 당황하게 되는 거지요. 하지만 이런 문제야말로 단순한 계산이 아닌, 규칙의 변화, 오류, 예외를 ‘판단하고 분별하는 힘’을 기를 수 있는 기회 입니다!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“반복 규칙”만을 따지던 사고에서 벗어나, 숫자의 흐름 속에 숨어 있는 변화와 장난스러운 예외 를 어떻게 읽는지, 그 흐름을 아이와 함께 수학 탐정처럼 풀어가는 진행 방식 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.
엄마가 먼저 규칙을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, “어? 여기 의구심이 드는데?”라는 직관적 의심과 논리적인 탐색의 감각 을 우리 아이들이 기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번 포스팅에서의 저의 목적이에요. ^^* 아이에게 설명하자면...
수학 문제도 꼭 퍼즐 같단다. 가끔은 누가 장난을 쳐서 숫자 하나를 살짝 바꿔놓을 수도 있어. 세우고 방향을 틀기도 하지. 우린 그걸 눈치채는 수학 탐정이 되어보는 거야!” 본인의 이름을 넣으세요! 엄마
개념 이야기 어긋난 수를 찾아요 – 오류를 찾는 눈 예: 2, 4, 6, 8, 13 , 12 규칙은 +2씩 증가인데, 중간에 13 이 튀어나왔어요. 이런 문제는 숫자들을 수동적으로 따라가기보다... "이게 뭐지? 왜 갑자기?"라고 스스로 의심하는 사고력을 키워줍니다.
물론, 오류를 찾아내는 연습이니, 오류 항 하나만 있어야 해요! 규칙 속의 예외 – 일부만 다른 규칙 예: , , , , , , , , , , , ... 한 번만 다른 도형()이 끼어든 경우. 아이들은 전체 패턴을 보면서도 중간의 ‘한 번’ 다른 점 을 집어낼 수 있어야 합니다. '규칙 = 항상 같다'는 생각에서 벗어나 패턴 속의 변화를 포착하는 힘 이 바로 수학적 눈이니까요. 혹, 우리 아이가 4개 한 묶음의 패턴 파악을 넘어, 8개 한 묶음의 패턴 파악까지 할 수 있으면 정말 대단한 일이겠지요. 더해지는 수가 자라나요 – 변화 속의 규칙 찾기 예: 2, 5, 9, 14, 20, ___, ___ 처음 보면 단순히 수가 늘어나는 것 같지만, 숫자 사이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규칙이 보입니다.
5 - 2 = 3 9 - 5 = 4 14 - 9 = 5 20 - 14 = 6 더해지는 수가 점점 커지고 있어요! 즉, 이 수열은 “+3, +4, +5, +6...”으로 끝나지 않는 구조에요. 이렇게 ‘변화의 변화’를 발견하면 다음 수는... 20 + 7 = 27, 27 + 8 = 35 정답은 27과 35 가 되는 거지요. 이런 문제는 숫자 자체보다는 변화량의 흐름 을 읽어야 하는 고차원 사고 문제입니다.
엄마가 함께 “차이가 어떻게 달라지지?”라고 유도하면, 아이도 단순 반복을 넘어서 수의 속성을 탐색하는 힘을 기를 수 있을 거에요.
이 개념이 왜 중요할까요? 수학은 ‘규칙을 찾는 힘’뿐 아니라, ‘규칙이 깨졌을 때를 눈치채는 힘’도 필요합니다. 이런 힘은 앞으로 수없이 많은 다양한 수학적 문제 상황을 대할 때마다 큰 능력이 될 거에요.
이런 연습을 통해 아이는 문제 속의 오류를 분석하거나, 새로운 규칙을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훈련 을 하게 됩니다! 틀린 것을 맞게 고치는 능력, 이것이 바로 수학 실력의 진짜 척도랍니다. 오늘도 고생 많으셨어요. ^^* 아이에게 이렇게 말씀해 주세요...
규칙이 항상 똑같다고 생각하지 마! 가끔은 장난꾸러기 숫자가 나타나서 흐름을 살짝 바꾸기도 해. 우리는 그걸 알아차리는 수학 탐정이 되어보는 거야. 잘 보면... 힌트는 항상 네 눈 앞에 있단다! 본인의 이름을 넣으세요! 엄마
※ 이 포스팅과 관련된 다른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!
- 이전글흥신소의뢰요금 의뢰비용 합당한 금액은 25.08.11
- 다음글광주흥신소 : 상간자 소송을 위한 철저한 단서확보 전문 25.08.11